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12

2023년 건설사 도급순위(23.08.01.기준) 2023년 건설사 도급순위(23.08.01.기준) - 올해도 어김없이 건설사 도급순위 및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발표되었습니다. 매년 7월 31일에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하고 8월 1일부터 활용하는 건설사 도급순위 입니다. 11년동안 삼성물산은 압도적인 차이로 1위를 차지하였습니다. 또한 작년 7위였던 대우건설이 3위로 올라오면서 TOP3를 유지하였는데요. 1위 부터 100위까지의 시공사 순위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 참고로 시공능력평가 항목별 상위 10개사 현황에 대해서 한번 보겠습니다. 시공능력평가액 총액과 공사실적평가액과 경영평가액 등등 으로 순위를 매기는데, 각 순위별로 등수가 다르다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 공사실적만이 아닌 여러가지 지표를 활용하는데, 여기에는 외적인 지표만 활용한다는 지.. 2023. 8. 1.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이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이란 -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대해서 최근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그와 관련된 대출들의 연체율이 올라감에 따라 하루가 멀다하고 pf대출의 위험성,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대한 위험성을 보도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쉽게말해서 pf대출이라고 말합니다. 원어로 project financing 라고 불리며 앞글자만 따서 pf대출이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일반적인 담보대출과 다르게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미래의 수익이 발생될 것을 감안하여 대출을 하는 것입니다. 원래는 100억 자산에 보통 60~70%인 60~70억원을 대출하는데요. 이와.. 2023. 4. 3.
PF대출 관리형토지신탁이란 PF대출 관리형토지신탁이란 - PF대출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신탁의 방식이 바로 관리형토지신탁입니다. 책임준공형 관리형토지신탁부터 일반 관리형토지신탁까지 가장빈번하게 쓰이는 신탁구조 인데요 흔히들 줄여서 관토 또는 책준형관토라고 불리는데 이 관토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신탁의 종류 - 부동산신탁의 종류는 목적 및 관리방법에 따라 구분하며 담보신탁, 관리신탁, 처분신탁, 분양관리신탁, 관리형토지신탁, 차입형토지신탁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신탁이 3가지입니다. 담보신탁, 관리형토지신탁, 차입형토지신탁 입니다. 오늘은 이 3가지 중에서 PF대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관리형토지신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관리형토지신탁 - 관리형 토지신탁은 신탁회사가 사업주체가 되어 자금을 관리.. 2023. 3. 30.
PFV란 무엇인가 PFV란 무엇인가 - PFV는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라는 말로 영어로는 Project Financing Vehicle라고 부릅니다. 부동산 개발 사업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설립하는 서류형태의 회사인데 흔히 말하는 페이퍼 컴퍼니가 바로 pfv입니다. pfv는 금융기관과 프로젝트 참여기업으로부터 자금을 받아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자산의 관리업무를 하는 자산관리자에게 위탁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됩니다. 자산관리자는 아래에서 설명드리겠지만 AMC라고 부릅니다. - 부동산 개발사업의 일반적인 구조는 시행사가 토지를 매입해서 시공사를 선정하고 금융기관을 붙여서 사업을 진행하는것이 일반적인 구조입니다. 하지만 시행사들이 그렇게 돈을 많지 않습니다. 돈이 많이 없으니, 사업을 진행하다가 부도를 할 수도 있.. 2022. 12. 23.
반응형